윈도우10 쓸모 있는 팁

편리한 ‘갓 모드’ 갓 모드는 윈도우의 숨겨진 기능 가운데 하나로, 모든 설정(기능)을 하나의 폴더에 모아서 보여준다. 설정 항목이 ‘제어판’과 ‘설정’ 둘로 분리되어 있는 윈도우10에서는 특히 유용하다. 우선 적당한 장소 예를 들면 바탕화면에 새 폴더를 만들고 이름을 ‘GodMode.{ED7BA470-8E54-465E-825C-99712043E01C}’로 설정하자. 그러면 제어판 닮은 아이콘이 만들어지고 더블 클릭하면 ‘갓 모드’ 폴더가 열린다. 폴더 이름에서 ‘갓모드’ 부분은 자신이 선호하는…

포토샵 CS6 및 CC 이전버전 무료 다운로드

이전 버전 포토샵을 7.0부터 CS, CS2, CS3, CS4, CS5, CS6, 게다가 CC버전 2015부터 2019까지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해당 사이트로 넘어갑니다. 포토샵 CS6 및 버전별 다운로드 사이트 www.esoftner.com/ 해외 사이트인데 포토샵 뿐만 아니라 일러스트레이터, 라이트룸 등도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어도비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물론, 모든 프로그램에는 라이센스가 있기 때문에 체험판으로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파일에 시디키가 있긴 하지만 라이센스 문제로 차단되었으니 설치 후 본인의 라이센스로 인증하시면 됩니다.) eSoftner 사이트로 들어가신 후 오른쪽 검색창에 photoshop cs6라고 적어주신 후 Search 버튼을 눌러 주세요. 그러면 바로 검색 결과가 나옵니다. 검색 결과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다운로드 버튼이 나옵니다. 클릭하면 파일이 다운로드가 됩니다. 포토샵 CS6나 그 이하 버전이 필요하신 분들은 위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해 보세요.

윈도우 단축키

일반 단축키 대화 상자 단축키 Microsoft Natural 단축키 내게 필요한 옵션 단축키 Windows 탐색기 단축키   문자표 단축키 Microsoft 관리 콘솔(MMC) 기본 창 단축키 MMC 콘솔 창 단축키 Microsoft Internet Explorer 탐색 출처: https://webdir.tistory.com/370 [WEBDIR]

Grub2 사용법

1. 운영체제에서의 부트로더의 역할 컴퓨터가 운영체제로 부팅하는 과정을 보면 컴퓨터 전원을 넣으면 제일 먼저 바이오스가 동작한후에 운영체제로 부팅이 이뤄집니다. 바이오스가 동작하고나서 운영체제가 부팅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프로그램을 부트로더(BootLoader)라 하며, 하드 디스크의 첫번째 섹터(MBR, Master Boot Record)에 512바이트의 크기로 존재합니다. 바이오스 동작후에 순식간에 바로 운영체제로 넘어가기 때문에 그 사이에 부트로더가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사용자는 그리…

[Windows PE] 간단한 윈도우 PE 만들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VISTA/7/8 ISO에 포함되어있는 윈도우 설치 PE인 BOOT.WIM를 수정해서 간단한 PE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Windows PE] 윈도우 PE란?’ 에서는 Setup.exe를 교체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보여드렸는데요, 실제 PE를 만들때는 PE의 설정 파일이라고 할 수 있는 WINPESHL.INI 파일에 실행될 프로그램을 지정해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BOOT.WIM 파일을 마운트 한 뒤, WINPESHL.INI를 수정해서 파일 탐색기인 Q-Dir을 실행하는 간단한 PE를 만들어 보도록…

Sabayon Linux

사바욘 리눅스 공식 사이트  참고 : https://wiki.gentoo-kr.org Sabayon 버전 정보 cat /etc/sabayon-release 커널 정보 보기 eselect kernel list 엔트로피 업데이트(꾸러미관리자) GUI – rigo CLI – equo equo updateequo upgradeequo conf update grub 설정 /etc/default/sabayon-grub auto login lightdm/etc/lightdm/lightdm.conf[SeatDefaults]autologin-user = usernameutologin-user-timeout =0 slim/etc/conf.d/xdmDISPLAYMANAGER=”slim”rc-update add xdm default/etc/slim.confdefaultuser yourusernamehereauto_login yes session 삭제 $HOME/.cache/sessions Midori http://wiki.xfce.org/midori/faq~/.cacheexport XDGCACHEHOME=/dev/shm 한글 입력 https://wiki.gentoo-kr.org/index.php?title=Gentoo_Korean_Env폰트 설치해줌.기본설치된 ibus 설정해줌.Session and…

음악 플레이어 푸바(Foobar2000) 설치 및 기본 사용법

foobar2000은 피터 파블롭스키가 개발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프리웨어 오디오 플레이어이다. 최소주의적인 인터페이스를 지니고 있으며, 메타데이터와 고품질 오디오 출력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공식 및 제3자 플러그인을 통한 광범위한 확장이 가능하고, 프로그램 자체의 소스 코드는 공개되어 있지 않으나 플러그인 개발을 위한 SDK는 BSD 허가서에 따라 소스가 공개되어 있다. 0.9버전부터 윈도우 9x 계열의 지원이 중단되고, 0.9.5 버전부터는 윈도우 2000을 지원하지 않는다.  특징     풍부한 플러그인     공식 플러그인뿐만 아니라 제3자의 플러그인의 개발이 매우 활발하다.     유니코드를 완벽하게 지원     대부분의 언어를 읽고 쓸 수 있지만 그 나라의 언어를 표시할 폰트가 필요하다.     리플레이게인을 지원     파일을 재압축하는 처리 없이 음량을 평준화 할 수 있다.     파일 관리     매우 많은 파일을 빠르게 태그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파일을 일괄적으로 이름 변경하거나 복사할 수 있다.     Media Library 기능 (예전 Database 기능)     최근 버전에서는 파일의 태그를 foobar2000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캐시한다. 이를 통해 재생 목록에 빠르게 파일을 추가할 수 있게 하며, 캐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앨범 목록 등을 이용하는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다. 0.8 버전까지는 음악 파일의 태그를 변경하지 않고 자체 데이터베이스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였다.     Columns UI     제3자가 개발하고 있는 인터페이스 플러그인. 매우 인기가 있는 플러그인으로 이 인터페이스에만 작동하는 플러그인이 존재한다.     Converter     외부 인코더와 연동시켜 파일을 Wave 형식이나 다른 형식으로 인코딩 할 수 있다.     오디오 시디를 지원     오디오 시디를 읽을 수 있으며 오디오 시디에서 음원을 추출할 수 있다.     SACD 지원     각종 DSD 포맷과 플레이스테이션3로 추출된 SACD ISO재생이 가능하다. (플러그인 설치 필요)

유튜브에 접속하지 않고 푸바(FOOBAR) 2000으로 유튜브음악을 듣고 영상보는 방법

유튜브에서 음악 많이 들으시나요? 필자 역시도 유튜브에서 하루도 빠짐없이 음악과 영상을 플레이하고 있는데요. 당연하겠지만 필자는 유튜프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중이라 아무런 광고없이 유튜브를 즐기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사용자들에겐 영상이 제거된 음악전용 유튜브 음악 앱이 제공되어 데이터 사용도 매우 도움이 됩니다. 개인적으로 PC에서 작업할때도 별도로 보유한 MP3 등의 음악은 물론 유튜브도 함께 청취를 하고 있는데 오늘은 푸바를 이용해서 유튜브 음악을 아주…

아치리눅스 한영키 및 한글 입력문제 해결하기

한영키가 입력되지 않고 alt 등으로 인식될 경우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xprofile 파일에  xmodmap -e ‘remove mod1 = Alt_R’  xmodmap -e ‘keycode 108 = Hangul’  xmodmap -e ‘remove control = Control_R’  xmodmap -e ‘keycode 105 = Hangul_Hanja’ 추가후 로그아웃 후 재로그인 아치리눅스계열(아치, 만자로)에서 확인 완료했습니다. 한글 입력은 uim을 선호합니다. uim 설치후(sudo pacman -S uim) ~/.xprofile 파일에 IM=’uim’…

MX Linux 간단 사용기

MX Linux가 디스트로와치에서 인기가 있어서 한 번 확인해 봤습니다.https://mxlinux.org/Debian 9 Stretch 기반의Xfce 커스텀 버전이군요.Whiskermenu를 사용합니다. 이 부분이 핵심이네요.MX-Tools라는 별도의 튜닝 도구를 가지고 있습니다.여기에서 저장소 설정, 캐시정리,부트리페어,스냅샷등을 설정하면 됩니다.  MX-Tweaks라는 꾸미기 도구가 있군요 패널 위치도 이곳에서 설정하면 됩니다. Voyager도 시도해보세요.Voyager는 데비안, 우분투 두 기반으로 만들고 있습니다.https://voyagerlive.org/ 나비가 되어서 반가웠는데 자동 연속 뒤로가기가 안 되네요.안타깝네요.im-config 도 별도…